인기 기자
명치가 '콕콕' 담석증 의심
20~30대 환자 급증…가임기여성 검진 중요
2017-06-14 06:00:00 2017-06-14 06:00:00
[뉴스토마토 최원석 기자] 담석증을 앓고 있는 20~30대 젊은 환자가 늘고 있어 주의해야 한다. 서구화된 식습관, 비만, 고지혈증이 환자 수 증가의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임신부는 호르몬 변화로 담석증이 더욱 빠르게 진행될 수 있고, 임신 30주가 넘어서면 수술 치료가 어려워 더욱 유념해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강동경희대병원에 따르면 담석증으로 진료받은 20~30대 환자는 2016년 2만2330명으로 2010년(1만7584명) 대비 27% 증가했다. 2016년 기준, 20~30대 여성 환자는 1만2970명으로 같은 연령대 남성 환자(9360명)보다 1.4배 많게 나타났다.
 
20~30대 여성에서 담석증 유병률이 높아지는데 이 때가 여성에겐 가임기에 해당돼 주의해야 한다. 만약 임신한 상태에서 담석증을 알게 되면 임신 1,2기에서는 수술이 가능하지만 3기에서는 수술이 어렵다. 임신으로 인한 담석증 증가에 뚜렷한 원인이 밝혀진 바는 없다. 다만 임신으로 인해 콜레스테롤 분비가 증가하고 담즙의 성분이 변하는 것을 한 요인으로 보고 있다. 담석으로 통증이 있어도 염증이 없는 상태라면 태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출산 때까지 경과를 지켜보게 된다.
 
하지만 급성담낭염의 경우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반드시 수술이 필요하다. 복강경 수술법의 발달로 임신 중 담낭제거술의 안전성이 향상됐다고는 해도 여전히 수술의 위험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따라서 임신 전 담석증 검사를 통해 관리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담석증은 담관이나 담낭 안에서 간에서 분비되는 담즙의 구성 성분들이 결정을 이뤄 돌처럼 굳어지는 질환이다. 보통 속이 답답하고 윗배에 통증이 있어 단순 소화불량이나 위염으로 생각하기 쉽다. 내시경 검사를 받아도 특별히 이상이 없거나 위염 진단을 받고 약을 복용해도 증상이 호전되지를 않는 경우가 많다.
 
담석증에 걸리면 주로 명치 부위나 우측 상복부에서 통증이 느껴진다. 통증이 갑자기 발생한 후에 약 15분에 걸쳐 빠르게 아파오고 이후 같은 강도의 통증이 지속되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특징을 보인다. 기름진 음식을 먹은 후 명치 부분이 체한 듯 답답하고 더부룩한 증상이 반복될 때도 의심할 수 있다. 자주 급체를 하거나 식사 후에 불편감도 흔한 증상이다. 원인 없이 간 기능 수치가 반복적으로 높아지기도 한다. 담석에 의해 담즙이 배출되는 통로가 막힌 경우에는 진통제 없이 통증이 해결되지 않고 열이 나며 황달이 생기기도 한다. 서둘러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어 조기에 발견, 치료하는 것이 관건이다.
 
간혹 물이나 맥주를 많이 마시면 담석이 빠질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지만 소변을 많이 보는 것과 담낭담석은 관련이 없다. 작은 담석은 안전하다는 것도 대표적인 오해다. 오히려 담석의 크기가 작으면 담관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더 높아 담도염과 췌장염 등 합병증이 흔하게 발생할 수 있다.
 
담석은 초음파로 쉽게 발견된다. 담석의 위치에 따라 담낭담석, 총담관담석, 간내담석으로 나뉘는데 이중 담낭담석이 가장 흔하다. 위치에 따라 치료법이 다른데 담낭담석은 수술로 담낭을 제거하지만, 총담관담석은 내시경을 이용해 제거한다. 간내담석은 일반적으로 수술적 치료가 시행된다. 복강경 수술법의 발달로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빨라 수술 후 1~2일 정도면 퇴원하고 1주일 후면 정상 생활이 가능하다. 담낭이 제거되도 일정 적응 기간을 거치면 소화에 특별한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주선형 교수는 "담낭 담석은 통증이 없는 경우에 정기적인 검사로 경과를 관찰하게 되는데 자연적으로 없어지지는 않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가 근본 해결 방법"이라며 "담낭 벽이 석회화되어 있거나 담석의 크기가 3cm 이상인 경우 또는 용종이나 선근종을 동반하고 있다면 담낭암 발생 빈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예방적 담낭절제술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담석증은 담관이나 담낭 안에서 간에서 분비되는 담즙의 구성 성분들이 결정을 이뤄 돌처럼 굳어지는 질환이다. 방치시 사망 등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켜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진=뉴시스
 
최원석 기자 soulch39@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