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정서윤

'K센서·AI' K반도체 투트랙 전략…미래차 전환에 2826억 지원

K-센서·AI 반도체 기술개발 내년부터 추진

2021-06-10 15:13

조회수 : 2,953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정서윤 기자] 정부가 ‘K-반도체’ 후속 전략인 첨단 센서, 인공지능(AI)을 두 개 축으로 대규모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등 기술역량을 높인다. 특히 로봇기술에 필요한 첨단 센서를 국산화하는 K-센서 전략을 위한 본격화 작업이 내년부터 이뤄진다. 
 
또 엔진·동력전달·내연기관 전기장치 등 사업재편 필요성이 높은 자동차 부품기업의 고용 충격을 방어하기 위해 ‘미래차 전환 지원플랫폼’이 구축된다. 아울러 부품기업과 정보통신(IT) 등 이종 기업 간 공동 연구개발(R&D), 전략적 제휴, 표준화 등을 협업할 민간 주도의 ‘자율주행산업협회’가 설립되고 소재 국산화율을 95%로 끌어올린다. 
 
정부는 10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제로 '제11차 혁신성장 BIG3 추진 회의'를 열고 K-반도체 대규모 예타 사업 추진방안 및 자동차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을 발표했다.
 
예타 사업 추진의 핵심은 첨단 센서 기술 확보를 위한 '시장선도형 K-센서 기술개발'과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이다. 정부가 발표한 5개 예타사업 중 이 두가지의 사업은 내년부터 예타를 추진하며, 인력양성 등 3개 사업은 2023년부터 추진한다.
 
예타 사업 추진 방안을 보면, 내년 첨단 센서, AI 등 새로운 분야의 기술역량 강화가 방점이다. 또 주력산업의 데이터 처리·수집에 필요한 첨단 센서의 기술개발과 산업 생태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센서 R&D를 지원하고, 지자체는 센서 제조 혁신 플랫폼과 실증 인프라를 확보할 계획이다.
 
시장선도형 K-센서 개발과 관련해서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통합한 PIM(Processing in memory) 반도체 기술 선도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4대 기술분야의 역량 확보를 지원한다.
 
PIM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은 본 예타 종료 이후 예산 당국과 협의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K-반도체 벨트 구축을 위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양산형 테스트베드(Test Bed), 첨단 패키징 플랫폼 등 인프라 조성사업과 반도체 성장 기반의 핵심인 대규모 인력양성 사업은 추가적인 사업 기획 후 2023년부터 추진한다. 
 
양산형 테스트베드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내 구축한다. 이 사업은 올해 하반기에 예타를 신청할 예정이다.
 
아울러 반도체의 고성능화, 다기능화,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첨단 패키징 역량 강화를 위해 시제품 제작, 테스트, 평가·인증을 원스톱 지원하는 인프라를 구축한다. 이 플랫폼에는 5대 첨단 패키징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90여종의 장비를 구축하고, 국내 기업의 시제품 제작·검증과 R&D 과제 수행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첨단 패키징 플랫폼 사업은 내용 보완을 거쳐 하반기 예타를 신청할 예정이다.
 
반도체 산업 생태계 활성화의 핵심인 인력양성을 강화하기 위해 민·관 공동투자 대규모 인력양성 사업도 추진한다. 이 사업은 지난해 3분기 예타에서 불발됐으나, 반도체 인력양성의 중요성과 기업의 인력부족 상황을 고려해 올해 3분기 예타를 재신청할 계획이다. 사업 규모는 기존 3000억원에서 3500억원으로 확대한다.
 
정부는 10일 'K-반도체 전략'의 후속조치로 대규모 예타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K-반도체 전략의 구체적 예타 사업. 자료/산업통상자원부
 
 
2030년까지 자동차 부품기업 1000개를 미래차 기업으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올해 기술·자금·인력·공정 등 4대 지원 수단에 2826억원을 투입한다. 지원하는 분야는 R&D 신설, 인력 양성, 미래차 펀드 조성(5000억원 규모), 스마트 공장 70% 보급 등이다.
 
정부는 향후 미래차 전환에 따라 자율주행부품 등 새로운 성장기회 창출이 가능한 반면, 엔진·동력 전달 등 내연기관 부품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코로나19로 부품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개별 기업의 역량으로는 미래차 사업 전환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정부는 완성차사와 지원기관 등과 함께 부품기업의 기술개발, 자금조달, 사업화 등을 밀착 지원하는 '미래차 전환 지원 플랫폼'을 구축한다. 특히 정부는 '사업재편 지원단'을 확대·개편해 미래차 개발과 구매계획 공유, 금융, 판로 등을 일괄 지원한다.
 
정부는 국산화 전략 품목 기술 개발과 관련된 지원도 강화한다.
 
전기·수소차 핵심 부품 14종의 기술 자립화를 지원해 현재 70% 수준인 국산화율을 2025년 95%까지 높이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올해에만 329억원 규모의 자동차 소재 R&D 예산을 투입한다.
 
기계·전자·소프트웨어(SW) 등 융합형 미래차 전문인력도 5년간 1만명을 양성한다. 3만8000명의 미래차 인력 수요의 4분의 1은 정부 인력 양성 사업을 통해 공급하기로 했다.
 
전장부품 제어, 자율주행 SW 등 석·박사급 신규 인력과 부품기업 R&D 부서 재직자 융합 교육을 통해 5년간 3800명을 양성, 현장 인력은 6200명에 대한 실무 교육을 지원한다.
 
박진규 산업부 차관은 "지난달 발표한 K-반도체 전략의 성과를 국민과 기업이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것은 정부가 얼마나 후속조치를 착실하게 이행하는지에 달려 있다"며 "종합 반도체 강국 실현을 위한 후속과제들을 차질없이 이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종=정서윤 기자 tyvodlove@etomato.com
  • 정서윤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