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황준익

tp://www.facebook.com/profile.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
전기차 충전시간 빨라지고 인프라 커진다

충전기 안전인증 400㎾로 확대…연내 기준 마련

2022-08-29 14:38

조회수 : 4,112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황준익 기자] 초급속 충전기 보급에 대한 안전관리 기준이 없어 운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자 정부가 전기차충전기 안전인증 대상을 초급속 충전기까지 확대키로 했다. 충전시간이 대폭 단축됨과 동시에 충전기 보급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2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전기차충전기 안전인증 대상을 기존 '200㎾ 이하'에서 초급속 충전기인 '400㎾'까지 확대한다. 산업부는 안전인증 대상 범위를 확대할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오는 12월 전기생활용품안전법 시행규칙 등을 개정할 예정이다.
 
송도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이피트'.(사진=현대차)
 
현재 전기생활용품안전법에 따라 안전확인대상 품목으로 지정해 관리하는 전기차 충전기는 정격용량 200㎾ 이하 충전기만 해당한다. 350㎾ 이상 초급속 충전기에는 '국가통합인증(KC인증)' 기준조차 없는 상황이다. 국제적으로 급속충전기 인증 표준은 200㎾급에만 존재한다.
 
실제 더불어민주당 김경만 의원이 산업부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와 도심 등에 설치된 350㎾급 초급속충전기는 총 82기지만, 모두 KC인증을 받지 못했다.
 
현재 350㎾급 초급속충전기는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진행하는 사용 전 검사나 자체 시험성적서 발급을 통해서만 안전관리가 이뤄지고 있다.
 
홍건영 전기안전공사 차장은 "350㎾급은 KC 인증 장비나 환경 조성이 안 돼 있어 200㎾ 이상 충전기는 자체 시험으로 갈음하고 있다"며 "국제 표준도 200㎾로 현재 국가기술표준원이 안전기준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 현행 200㎾급에서 400㎾급으로 정격용량을 확대하는 등 국제표준 개정을 진행 중이다. 국제표준에 따른 초급속충전기 KC인증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용역도 수행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전국 주요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 350㎾ 초급속충전기 32기를 구축하고 있다. 현대차(005380)그룹도 휴게소나 도심 주요 시설에 자체 충전 브랜드 '이핏(E-pit)'과 '하이차저'를 통해 총 109기의 350㎾ 초급속충전기를 설치했다. 400㎞ 주행시 필요한 배터리를 80% 충전하는 데 100㎾급 급속충전기가 1시간 정도 소요된 것과 비교해 350㎾급 초급속 충전기는 약 20분 만에 충전이 가능하다.
 
앞으로 전기차 충전기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는 2025년까지 전기차 113만대를 보급할 계획인데, 같은 기간 급속충전기는 1만7000기, 완속충전기는 50만기까지 늘릴 방침이다. 
 
시장조사업체 프리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전세계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 규모는 2020년 149억달러(약 18조원)에서 2027년 1154억달러(약 142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국내 주요 기업들이 전기차 충전 사업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초급속 충전기 안전기준이 마련되면 본격적인 사업 확대가 기대된다. 우선 SK(034730)㈜는 지난해 초급속 충전기 제조회사인 시그넷 EV를 인수했다. 2016년 설립된 시그넷 EV는 350㎾ 초급속 충전기를 개발해 2018년 세계 최초로 미국 인증을 획득한 기업이다.
 
현대차그룹은 롯데그룹, KB자산운용과 전기차 초고속 충전 인프라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한다. 3사는 전기차 초고속 충전기(최대 200㎾급)를 충전 사업자 등에 임대하는 초고속 충전 인프라 사업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LG전자(066570)는 지난 6월 GS에너지·GS네오텍과 손잡고 전기차 충전기 전문업체 애플망고의 지분 100%를 인수했다. 이 밖에도 한화(000880)그룹, LS(006260)그룹 등도 자회사를 통해 전기차 충전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한편 국토교통부 통계누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전기차 누적 보급 대수는 29만8633대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72.5% 증가했다.
 
황준익 기자 plusik@etomato.com
 
  • 황준익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