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최홍

(글로벌 금융) 해외 금융중심지의 차별화 전략

2019-03-03 19:49

조회수 : 2,621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국내 금융중심지 발전 방향이 정쟁으로 변질되고 있습니다. 독일, 중국 등이 지역 특색을 살려 금융중심지를 발전시키는 것과는 대비됩니다.

대표적인 해외 금융중심지는 미국 뉴욕, 홍콩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해양 및 하이테크 중심의 금융중심지도 해외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습니다.

우선 신 금융중심지는 독일 함부르크와 중국 칭타오·선전이 해당됩니다.  
 
어촌도시인 중국의 선전은 지난 1980년대 중국 최초의 경제특구로 지정됐습니다. 이후 불과 30년만에 홍콩과 견줄만한 생산규모를 갖췄습니다.
 
부산 금융중심지 BIFC. 사진/ 뉴시스
 
이후 IT 중심의 기업들이 생겨나면서 중국 개혁 및 개방의 메카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금융에 치중하는 것이 아닌 미래 경제성장을 염두에 두고 하이테크 부문을 개척했기 때문입니다.

또 해양산업과 금융을 접목한 도시, 칭다오도 마찬가지입니다.  중국 산둥성 동쪽 해안에 위치한 점을 이용해 해양중심 대학, 연구기관을 잇달아 설립했습니다. 이후 해양산업이 집적된 금융중심지에 이르렀습니다. 

독일 함부르크도 해양기반으로 금융중심지를 구축했습니다. 해양 금융을 기반으로 혁신산업의 클러스터를 만들어냈습니다. 

이들 모두 지역과 특화되고, 다른 국가과 차별화됐다는 점에서 배울점이 많습니다.

우리나라 금융중심지는 서울과 부산이 꼽힙니다. 이어 현재 정부는 전북을 제3금융중심지로 선정하는 데 고심하고 있습니다.

그간 금융위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인 전북 제3금융중심지 조성에 따른 연구용역을 추진해왔습니다. 
 
2016년 문 대통령 후보시절, 전북혁신도시를 서울·부산에 이어 금융중심도시로 만들겠다는 공약에 따른 것입니다.

하지만 부산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반발이 제기되면서 제3금융중심지 조성은 지역갈등으로 치닫는 형국입니다.

부산 지역 금융중심지가 조성된지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인프라 투자가 미흡한 가운데, 제3의 금융중심지 조성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부산·전북 지역구의 의원들은 자기 지역에 금융중심지를 조성하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이 객관적인 평가를 내리지 못하고 휘둘릴 우려가 제기됩니다.

또 일각에서는 국토가 작은 한국에 금융중심지를 3곳이나 선정한다는 것은 불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국회에서 왈가왈부할 게 아니라, 정부에서 객관적인고 형평성에 맞는 금융중심지를 선정해야 합니다.

 
  • 최홍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