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공천혁신안, 정무적 판단에 제약”
공천룰 변경 시사…당무위서 탈락자 일부 구제 등 논의하나
2016-02-28 15:10:55 2016-02-28 15:10:55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28일 당의 총선 공천 혁신안에 대해 “정무적 판단이나 어떤 변화를 이끌기에는 상당히 제약적 요소가 많다”며 개정 필요성을 시사했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취임 한달 기자회견을 갖고 “(내일) 당무위원회에서 어떻게 결론 날지는 모르겠지만, 한가지 분명한 것은 지금 혁신안은 정치적 판단을 할 수 없게 돼 있는 항목이 너무 많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1차 컷오프’(공천배제) 명단 논란에 대해서도 “일부 사람들이 (혁신안을) 만들 때는 아무 말 안하고 있다가 이런 사태가 터지니까 왜 정무적 판단을 못하냐고 한다”며 “(규정상 제게) 권한이 없는 정무적 판단은 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선을 그었다.
 
지난 24일 더민주 공천관리위원회(공관위)는 '의정활동’과 ‘다면평가’(의원 상호평가) 등을 기준으로 현역 의원 평가 하위 20%에 해당하는 컷오프 탈락자 10명을 발표했다.
 
그러나 탈락자 10명에는 대구 출마를 준비하던 홍의락 의원, 19대 국회에서 두 번이나 당 비상대책위원장을 역임한 문희상 의원 등이 포함돼 당이 시스템 공천을 강조하다 정무적 판단을 놓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더민주는 29일 당무위원회를 열고 1차 탈락자 중 일부 구제를 비롯해 현 지도부의 공천권한 확대에 필요한 당헌·당규 개정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4·13 총선과 내년 대선 승리를 위한 당의 ‘변화’를 강조했다. 그는 “당이 취해온 여러 가치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지켜야 할 가치는 지켜나가고 현실에 맞지 않는 가치는 변화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며 “사람에 따라 받아들여지기 어렵고 약간의 저항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국민에게 변화된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면 총선은 물론이고 내년 집권을 위한 대선에도 적지 않은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최근 자신의 ‘북한 궤멸' 발언, ‘햇볕정책 수정론’ 등이 당 정체성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비판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김 대표는 “당이 그동안 추구해왔던 ‘중산층 이하에 관심 갖는 정당’이라는 가치는 인정한다”면서 “그렇지 않고 추상적으로 하는 이야기에 대해선 단호히 변화를 추구할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대표는 이번 총선 전략에 대해선 “정직한 공약을 내놓고, 내년 대선과 연계시킬 생각을 갖고 있다”며 “박근혜 정부 3년 동안의 정책적 실패, 특히 경제정책 실패에 전면적 전쟁을 선포할 각오”라며 ‘경제심판론’을 내세웠다.
 
이성휘 기자 noirciel@etomato.com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취임 한 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