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브랜딩 앞둔 KB운용, 매니저 세대 교체…경쟁력 약화 우려
저연차 운용역 대거 유입…1년차 내외 9명
KB, 인력 이탈 지적에 "경쟁력 강화 차원"
2024-06-10 10:22:58 2024-06-10 10:22:58
[뉴스토마토 최성남 기자] 펀드 매니저 세대 교체에 나선 김영성호 KB자산운용이 경쟁력 약화 우려에 휩싸였습니다. 저연차 매니저가 대거 유입됐기 때문인데요. 하반기 리브랜딩을 앞두고 낮아지고 있는 상장지수펀드(ETF) 시장 점유율을 반전시킬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1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회원사로 등록된 57개 자산운용사 중 최근 3개월 사이 펀드 관련 매니저 등록과 말소가 가장 많이 이뤄진 운용사는 KB자산운용으로 집계됩니다. KB운용의 경우 493개의 펀드에서 신규로 매니저가 등록됐고, 466개에서 매니저 말소가 이뤄졌습니다. KB운용 관계자는 "(변경 횟수의 급증은) 펀드매니저 교체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올 초 임기를 시작한 김영성 대표 체제하에서 KB자산운용은 조직 개편에 나섰는데요. 기존 ETF마케팅본부와 ETF운용본부를 ETF사업본부로 우선 통합을 진행했습니다. 본부 산하에 △마케팅실 △운용실 △상품실로 재편했습니다. 총괄 본부장은 김 대표가 외부에서 영입한 김찬영 전 한국투자신탁운용 디지털ETF마케팅본부장이 맡았습니다.
 
개편 이후 노아름 팀장도 합류했는데요. 키움투자자산운용 출신인 노아름 팀장은 올해 5월부터 KB자산의 상장지수펀드(ETF) 운용실장으로 본격적인 업무를 시작했습니다. KB자산의 대표 ETF 브랜드인 'KBstar'를 맡게 됩니다. 노 실장 영입은 김 본부장(상무)이 직접 영입한 것으로 알려집니다. ETF 사업 본부 개편과 관련해 김찬영 상무가 운용실장으로 노 실장을 낙점했다는 전언입니다. 협회에 등록된 노 실장의 총 운용경력은 10년입니다. 김 상무와는 삼성자산운용에서 함께 근무하던 인연이 이어진 것으로 전해집니다.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외부 인력을 유입했지만 내부 분위기는 심상치 않습니다. 김 상무 영입 이후부터 내부 직원의 반발이 거세진 것으로 알려지는데요. 실제 기존 ETF마케팅본부를 이끌던 금정섭 본부장이 한화자산운용으로 옮겼습니다. 이후 ETF 운용역 10여명이 교체된 것으로 확인됩니다.
 
문제는 교체된 운용역 대부분이 저연차란 점인데요. KB자산의 경우 지난해말 기준 1년 미만의 운용역은 3명인데요. 이달초 기준으로 5명으로 늘었습니다. 특히 올해 이직한 운용역(6개월 미만)은 12명인데, 운용 경력을 보면 이직한 12명 중 노아름 실장(10년차)을 제외하고 김동환, 박용식 운용역이 4년5개월로 나타나고 나머지 9명은 1년차 내외로 확인됩니다. 
 
한 운용업계 관계자는 "KB운용에 저연차 매니저가 대거 유입되면서 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면서 "펀드의 경우 지속성 여부가 중요한데, 고객들이 펀드 상품을 선택할때 매니저 경력을 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반면 ETF 매니저의 경우 운용경력이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또다른 운용업계 관계자는 "공모펀드 시장이 침체된 이후 ETF 시장이 떠오르고 있다"며 "ETF 상품은 개발 초기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출시된 이후엔 사실상 시스템적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매니저의 역할이 과거와 같이 종목 선정과 탄력적인 운용이 필수적인 시대는 아니며, 현재는 관리자의 성격이 짙다"고 전했습니다. 사실상 일부 고연차 매니저를 필두로 저연차 매니저를 배치해 관리형으로 운용이 가능하단 설명입니다.
 
KB자산 관계자도 "신임 대표로 교체된 이후 정체된 ETF 점유율을 끌어 올리기 위해 조직 개편과 인사 영입 등을 진행한 것"이라며 "조직의 변화가 있다보니 외부에선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있는데, 하반기 리브랜딩 작업을 앞둔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의 인력 조정으로 해석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KB자산운용의 점유율은 정체 상태입니다. 지난달 기준 KB자산운용의 ETF 순자산가치 총액 기준 점유율은 11조1951억원(7.69%)에 그칩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점유율이 감소했는데요. 8.77%의 점유율이 1% 이상 축소됐습니다. 순자산총액은 8조4897억원에서 31.87%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실제 1년새 ETF 시장이 145조5660억원으로 전년 대비 50.45% 급성장한 것과 비교하면 성장세 역시 시장 대비 부족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한 운용업계 관계자는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1,2위 싸움이 치열해지고 있다"면서 "업계 3위인 KB자산운용도 경쟁력 제고를 위해 신임 대표 체제 하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는 모양새"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업계 내에서 이직은 잦은 일이지만, 저연차 인력을 대거 배치한 모습은 비용 절감 차원 성격으로도 읽을수 있는 부분"이라며 "실제 성과가 나타날 KB운용의 하반기 ETF 사업 관련 실적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여의도 전경=뉴시스
 
최성남 기자 drks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의중 금융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