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반도체 포럼 개최…"반도체 협력이 동맹 핵심"
안덕근 "양국 기술협력 지원…인력 부족 문제 공조"
러몬도 "반도체, AI 때문에 중요…미국 생산 필요"
2024-06-28 06:56:00 2024-06-28 09:57:44
한국반도체산업협회 김정회 상근부회장과 존 뉴퍼 미국반도체산업협회 회장이 27일(현지시간) 워싱턴DC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공급망·산업 대화(SCCD) 반도체 포럼'에서 반도체 공급망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이 서명식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뉴스토마토 박진아 기자] 한·미 양국간 반도체 산업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한·미 공급망·산업 대화(SCCD) 반도체 포럼'이 2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됐습니다.
 
한·미 산업장관이 주관하는 첨단산업 및 공급망 분야 정례 협의채널인 SCCD 개최 계기에 양국 반도체협회 주최로 처음 열린 민관 포럼에는 안덕근 산업부 장관,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 등 양국 정부 인사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인텔, IBM, 시놉시스 등 양국 반도체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습니다.
 
참석자들은 양국 반도체 산업의 현안인 △기술 개발 △인력 양성 △공급망 안정 등 현황을 점검하고 각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양국 반도체 협회는 반도체 공급망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 반도체 포럼 정례화와 인공지능(AI) 등 신흥 시장에서의 비즈니스 협력, 기술 개발, 인력 양성, 투자 활성화 등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산업통상자원부는 밝혔습니다.
 
안 장관은 이날 포럼에서 가전과 휴대전화뿐만 아니라 방위 산업에서도 반도체가 필요하다면서 "한·미 안보 동맹이 공급망과 산업, 과학기술을 아우르는 동맹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반도체 협력이 우리 양자 동맹의 핵심 기둥을 구성한다고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안 장관은 "글로벌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와 신설된 한·미 산업기술 협력 센터를 통해 양국 간 기술 협력을 지원하고 석박사·청년 인력 교류 확대를 통한 인력 부족 문제에서 공조하겠다"며 "올해 하반기 미국 현지에 설립될 한미 AI 반도체 혁신센터가 양국 산업 교류 활성화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한·미 AI 반도체 혁신센터는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 들어설 예정입니다.
 
러몬도 장관은 한미 양국이 작년 4월 윤석열 대통령의 국빈 방미를 계기로 반도체를 비롯한 전략 산업에서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한 것을 언급하고서 "반도체는 1년 전에 전략적으로 중요했고 이제 인공지능(AI) 때문에 그만큼 더 중요해졌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미국에서 반도체 공장에 투자하기로 한 데 감사의 뜻도 표했습니다. 아울러 상무부와 인디애나주가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 메모리(HBM) 생산 계획의 성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반도체가) AI 때문에 더 중요해졌다. 필요하다. 미국에서 (생산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박진아 기자 toyouja@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