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재연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배경훈 후보자가 14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최소한의 한국형 인공지능(AI) 모델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국내 AI 경쟁력 강화를 강조했습니다.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에 대한 과기정통부의 미흡한 대응도 인정하며 과기정통부의 향후 과제도 언급했는데요. 이밖에 병역 복무 논란 등과 관랸한 해명도 이어졌습니다.
14일 국회에서 진행된 인사청문회에서 질의에 답변 중인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사진=뉴스토마토)
배 후보자는 이날 청문회에서 정부가 추진 중인 초거대 AI 개발 프로젝트인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사업’을 두고 "한국형 AI 모델은 꼭 필요하다"며 국내 AI 경쟁력 강화 의지를 강조했는데요. '정부 주도 한국형 AI 모델의 목표가 무엇이냐'는 질의에는 "글로벌 모델을 오픈소스 형태 또는 API(공개형 인터페이스)로 가져다 쓸 수도 있기는 하다"면서 "한국만의 차별화 모델을 만들어 안보·산업 분야에서 AI로 성과를 내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사업이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에 국한된 것인지, 오픈소스 모델을 기반으로 파인튜닝(특정 목적에 맞춰 추가 학습시키는 것)까지 포함하는지는 확인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배 후보자는 국내 기업이 AI를 도입해 성과를 내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정부가 마중물을 만들어주면 기업들도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 차원의 AI 지원이 과학기술 발전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 강조했습니다. 그는 "과학기술 발전도 AI의 발전에 따라 같이 성장할 수 있기에, 이에 대한 선투자가 중요하다"고 했는데요. 또 인재 유출 우려에 대해서는 "AI 인재 및 과학기술계 인재 유출에 대한 부분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며 "국내 연구 환경과 예측가능하고 안정적인 성과 지원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내 인재가 해외로 떠나지 않기 위한 정책으로 거론된 '병역특례 기간 조정'에 대해서는 "병무청과 협의해 조정해 보겠다"고 답했습니다.
재임 중 소버린 AI(주권 AI) 구축이 가능하냐는 질의에는 "도전적인 과제라고 생각하고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겠으나 재임 기간에는 반드시 달성해야한다고 생각한다"며 "정부와 민간 기업 모두 의자가 강한 상황에서 2~3년 안에 대한민국의 AI 대전환을 이뤄낼 것"이라고 답했는데요. 다만 AI 기본법 과태료 문제에 대해서는 "규제는 과하지 않지만 비용은 과하다고 생각해 일부 유예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짚었습니다.
일각에서는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에 따른 과기정통부의 미흡한 대응을 지적하면서 그 내막과 대응에 대한 주문도 이어졌습니다. 이훈기 민주당 의원은 "부처를 총괄하게 되면 당시 과기정통부가 어째서 소극적 행보를 보였는지 후보자는 파악해야 한다"고 지적했는데요. 배 후보자는 이에 "(과기정통부에서) 정보보호 체계와 보고·조치 미흡 등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답했습니다. 또 제4 이동통신사 도입으로 공정 경쟁이 필요하다는 지적에는 "시장 상황을 고려해서 추진해야 한다고 본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날 청문회에선 배 후보자의 병역 복무 논란도 도마 위로 올랐습니다. 배 후보자가 전문연구위원으로 복무하며 박사과정을 취득하는 과정에서 특혜가 없었느냐는 의혹에 "정상적인 방법으로 전문연구위원으로 병역을 수행했고, 병무청 승인을 통해 박사과정을 취득했다"라며 "병역복무 기간에 학위를 취득한 건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평균 직원보다 높은 연봉을 받은 것에 대해서는 "최초 연봉은 다른 복무자와 비슷한 3100만원이었다"면서도 "경영 사정이 어려워 여러 업무를 동시에 맡아 인센티브를 받아 4000만원을 살짝 웃도는 연봉을 받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국회 인사청문회를 진행 중인 최민희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사진=뉴스토마토)
이날 배 후보의 인사청문회는 예정 시간에서 3시간을 넘긴 오후 1시에 정상 재개됐습니다. 시작 직전 최형두 국민의힘 간사를 비롯한 소속 의원들이 '최민희 위원장 독재 OUT' 피켓을 들고 항의하자 민주당 의원이 이에 맞서면서 최 위원장이 인사청문회를 산회한 바 있습니다. 이후 재개된 회의에서도 여야 의원들의 고성이 이어져 정회 선언 후 다시 진행됐습니다.
박재연 기자 damgomi@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