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장 8시 시작한다고?…증권사 "노무 부담 증가…졸속 행정" 비판
거래소, 거래시간 앞당기고 전체 시간 연장하는 방안 전달
증권사들 "인력·비용 추가 불가피…이틀 만에 영향 분석 말 안 돼"
2025-07-31 11:22:56 2025-07-31 16:56:02
[뉴스토마토 이보라 기자] 한국거래소의 거래시간 연장안이 윤곽을 드러내자 증권사들이 반발하고 있습니다. 거래소가 거래 시간을 늘린다고, 넥스트레이드 거래량을 가져오리라는 보장이 없는 상황에서, 증권사가 이를 뒷받침하는 데 동원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인력과 전산 인프라 구축에 추가 비용이 투입되는 것은 물론 단시간 내 인프라 구축으로 인한 시스템 오류나 미비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면 투자자 피해 및 자본시장 신뢰 저하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 넥스트레이드가 예상 밖에 돌풍을 일으키면서 수수료 수익 측면에서 타격을 받게 된 한국거래소가 증권사 팔목을 비트는 방식으로 '졸속 행정'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됩니다. 
 
3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지난 29일 'KRX 거래시간 연장 관련 의견 수렴'이라는 공문을 회원사에 발송했습니다. 거래시간 연장과 관련한 회원사들의 의견을 수렴해 방안 수립에 참고한다는 방침으로, 이날 11시까지 회신을 요청했습니다. 거래소는 이미 거래시간 연장을 확정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증권사에 앞당길 시간을 정규장으로 할지, 프리마켓으로 할지에 대해 의견을 물은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거래소는 앞서 증권사 IT부서에 시스템 구축이 11월까지 가능한지에 대해서도 문의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거래소가 제안한 거래시간 변경안(1·2) 애프터마켓이 끝나는 시간은 저녁 8시로 동일하며 정규장 개장 시간에 대해 선택지를 줬습니다. 1안에 따르면 정규장이 8시부터 시작해 오후 330분까지이지만, 정규장 시간은 7시나 750분으로도 변경 가능하다고 제안했습니다. 2안은 프리마켓 8~830분 까지로 되어 있습니다. 이 두가지 대안을 제시하며 거래소는 증권사에 총 3가지를 물었습니다. 먼저 △현 거래시간 체계에서 업무 단위별(영업·운영·지점·IT) 근무시간(스케쥴) △거래시간이 오전 8~저녁 8시로 변경될 경우 예상되는 노무 이슈와 업무 단위 별 변경 근무시간 △8~9시의 거래시간이 프리마켓인 경우와 정규장일 경우 노무 부담 차이에 대해 증권사의 의견을 자유롭게 기재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증권사들은 거래시간이 연장되면 증권사들은 추가 부담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우려를 내놓는 한편 노무 부담 영향에 대해 단 이틀 만에 분석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달라고 한 것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정규장이 8시부터 시작되면, 이를 백업할 인력들은 모두 근무시간이 앞당겨질 것으로 보입니다. 추가 고용과 근무시간 부담은 피할 수 없습니다. 추가 고용을 한다고 해도 숙달된 인력이 되기까지 기존 인력이 이를 뒷받침해야 하는 등 업무 강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거래소가 거래시간 연장을 추진하면서, 장기적으로 나아갈 방향이라는 데는 공감하지만 거래소와 증권사 간 거래 시스템 구축은 단시간에 서두를 일이 아니라는 의견도 나옵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현재 개장시간 9시에 맞춰 대부분의 직원들은 8시까지 출근을 하는데, 거래시간이 연장되면 7시에 출근해야 한다"며 "여기에 주 52시간제를 지키기 위해서는 당장 2교대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증권사가 별도로 비용을 써가면서까지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라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른 관계자는 "올해 초까지 넥스트레이드 출범에 맞추는 데 바빴는데 또 거래시간 자체가 앞당겨지면 향후 사고가 터지지 않을지 걱정된다. 이런 게 바로 졸속 행정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다른 관계자는 "거래시간을 연장한다고 해서 한국거래소가 넥스트레이드 거래량을 가져올 수 있다는 보장이 없는 상황에서 시간만 늘린다고 될지, 그것도 의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 3월 국내 최초 대체거래소인 넥스트레이드가 문을 열며 예상 밖 선전을 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이에 따라 한국거래소 거래시간 연장안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보라 기자 bora1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