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LG유플러스(032640)가 서울 지하철 9호선 전 구간에 철도통합무선망(LTE-R) 구축을 완료했습니다.
LG유플러스는 16일 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교통공사 9호선 운영 부문과 함께 서울 지하철 9호선 전 구간에 LTE-R 구축을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2023년 착수한 1단계(개화~신논현, 27㎞ 25개역)에 이어 2·3단계(언주~중앙보훈병원, 13개역) 사업이 마무리되면서 총 38개 역사 약 40㎞ 구간이 하나의 통신망으로 연결됐습니다.
LTE-R은 철도 운행용으로 설계된 차세대 무선통신망으로, 기관사·종합관제센터·안전관리실 간 음성과 영상, 운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 통신기술(TRS·VHF)에 비해 전송 속도와 안정성이 높아 기관사는 열차가 역사에 진입하기 전 약 400m 거리에서 승강장 상황을 미리 확인할 수 있고, 종합관제센터는 동시에 여러 열차의 운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신속하게 지시를 내릴 수 있습니다.
서울 강서구 서울시메트로9호선 사옥에서 열린 구축 완료 보고회에서 박성주 서울메트로9호선 대표이사(왼쪽 여섯번째)와 임장혁 LG유플러스 기업고객그룹장을 비롯한 양사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G유플러스)
서울 9호선은 하루 평균 70만명 이상이 이용하는 핵심 도시철도 노선으로, LTE-R 구축을 통해 비상 상황 대응 속도와 운행 안전성이 한층 강화될 전망입니다. 노선 전체가 단일 무선망으로 통합되면서 통신 품질과 유지보수 효율성도 높아졌습니다.
LG유플러스는 앞서 서울 지하철 1·2·3·4·5·7·8호선과 신림선 경전철, 서해선(소사~원시선) 등 다수 노선에서 LTE-R 구축을 완료하며 철도 무선통신 분야의 기술력을 축적했습니다. 특히 서울교통공사와 협력해 1호선부터 8호선까지 노후 무선 설비를 LTE-R로 전환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9호선 사업에서도 안정적인 품질을 확보했습니다.
또한 국내 최초로 LTE-R 간 양방향 무선망기지국(RAN) 기술을 9호선에 적용했습니다. 이를 통해 환승 구간의 전파 간섭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안정적인 통신 품질을 확보한 혁신적 사례로 평가받았습니다. 특히 김포공항역 구간에서 기지국 상호 공유로 망 운용 효율성을 높였으며, 향후 전국 도시철도 LTE-R 구간의 전파 간섭 문제 해소에 확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임장혁 LG유플러스 기업고객그룹장 전무는 "서울시와 함께 시민의 발이 되는 9호선의 운행 안전을 높일 수 있어 의미가 크다"며 "축적된 통신 기술과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도시철도와 공공 인프라의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