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제유가 고공행진에도 석유제품 소비 '사상최대'
2012-01-30 09:51:51 2012-01-30 09:51:59
[뉴스토마토 윤성수기자] 지난해 국제유가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음에도 우리나라의 석유제품 소비량은 역대 최대치를 나타냈다.
 
30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평균 두바이유 가격은 배럴당 105.98달러로 전년대비(78.13달러) 35.6% 상승했다. 고유가였던 지난 2008년의 94.29달러보다도 훨씬 높은 수준이다. 현재, 두바이유는 우리나라 원유 수입량의 80% 정도를 차지한다.
 
두바이유 외에 북해산 브렌트유(배럴당 111.08달러), 오만산 원유(106.73달러), 이란산 중질유(105.71달러), 말레이시아 타피스 원유(117.26달러)도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처럼 국제유가가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지만, 우리나라의 석유화학제품 소비 열기는 식을 줄 몰랐다.
 
지난해 나프타, 항공유, 휘발유 등 석유화학제품 국내 소비량은 8억130만배럴로 전년대비 8.84% 증가하면서, 종전 최대치인 지난 2007년의 7억9494만5000배럴을 웃돌았다.
 
나프타 내수 판매량이 3억5520만1000배럴로 전년대비 7.05% 증가하면서 역대 최대를 기록했고, 휘발유 소비량도 6957만4000배럴로 전년대비 0.93% 늘어났다. 휘발유 소비량은 1997년 이후 가장 많았다.
 
항공유 판매량도 관광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의 2819만배럴보다 0.90% 증가한 2844만5000배럴이었다.
 
반면 경유와 벙커C유는 소비량은 줄어들었다. 경유는 1억3395만8000배럴로 전년대비 0.51% 줄었고, 벙커C유는 5137만9000배럴로 17% 감소했다. 등유와 LPG 국내 소비량도 전년보다 줄었다.
 
한국석유공사는 "지난해 우리나라의 석유제품 전체 소비량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은 유럽발 경제위기 속에서도 국내 석유화학 산업이 호조를 보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