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주분석)카카오톡 무료통화 개시.. 통신株 “혼란”
2012-06-05 14:04:27 2012-06-05 17:17:55
[뉴스토마토 홍은성기자] 카카오톡이 무료 음성통화 서비스인 ‘보이스톡’ 시범서비스에 나섰다. 이동통신사들은 이미 카카오톡이나 마이피플 같은 모바일 메신저로 인해 매출 감소를 한차례 겪은바 있기 때문에 이번 카카오톡의 ‘보이스톡’이 통신주의 실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후 2시 현재 KT(030200)는 전날보다 200원(0.70%) 오른 2만8950원 거래되고 있다. 그밖에 SK텔레콤(017670)은 보합, LG유플러스(032640)는 80원(1.49%) 내린 5290원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 4일 카카오톡은 국내 아이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자사 음성통화 서비스인 ‘보이스톡’ 시범서비스를 시작했다. 또 5일부터는 안드로이드OS로 시범서비스를 확대했다.
 
일단 참여 인원이나 방법 등에 제한 없이 카카오톡 사용자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실상 국내에서 무료통화 서비스를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평가다.
 
이렇다 보니 수익 위축을 우려한 이동통신사들은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무료 무선인터넷전화(m-VoIP)는 이통사 음성통화를 대체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SK텔레콤 관계자는 “m-VoIP가 관련 정책 및 제도 등이 정비되지 않은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확산될 경우 이동전화시장의 미래는 매우 암담하다”며 “당장 정부 차원의 조치가 어렵다면 통신사업자의 요금제 조정 같은 시장 차원에서의 적절한 조치가 시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카카오톡의 ‘보이스톡’을 두고 증권가에서는 통신주의 영향에 대해 다소 엇갈린 분석을 내놓고 있다.
 
최윤미 신영증권 연구원은 “카카오톡은 국내에만 약 3500만명의 가입자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고 이러한 강력한 시장 지배력을 기반으로 ‘보이스톡’ 서비스도 급격하게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SK텔레콤과 KT의 수익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SK텔레콤과 KT는 3G 스마트폰의 경우 5만4000원 요금제부터 m-VoIP를 허용하고 있고 5만4000원이상 요금제에서는 무제한 데이터가 제공되고 있다는 점에서 6만4000원이상 요금제를 채택하는 가입자가 크게 줄어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반면 최남곤 동양증권 연구원은 큰 영향은 없다고 본다”며 “스마트폰이나 LTE가 도입되면서 통신사들의 요금제는 정액제로 변했고 각각의 매출을 구역별로 보면 음성매출은 줄어드는 반면 데이터 매출은 올라갔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는 가입자당 매출액인 ARPU를 상승시키는 요인”이라며 “카카오톡의 ‘보이스톡’을 편하게 이용하려면 5만원이 넘는 요금제를 가입해야 하는데 현재 통신사의 ARPU는 3만원 수준이기 때문에 ARPU가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다만 ‘보이스톡’이 활성화될 경우 망중립성 관련 논의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증권가에서는 망중립성 이슈 부각에 따른 정부 규제 정책의 변화 등이 가시화되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