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개방' 애플의 변신…혁신 부재에 삼성은 '안도'
챗GPT 의존에 실망…인적 쇄신·통합 경험 필요성 대두
2024-06-11 15:42:28 2024-06-11 17:37:32
 
[뉴스토마토 변소인 기자] 폐쇄적인 방식을 취해왔던 애플이 타사와 협업해 뒤늦게 인공지능(AI) 폰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애플 발표를 앞두고 삼성전자 측에서는 긴장했지만, 타사와의 협업이 주를 이뤄 크게 괘념치 않는 분위기입니다.
 
애플은 1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에 있는 애플 파크 본사에서 '세계 개발자 회의(WWDC) 2024'를 개최하고 AI 시스템 '애플 인텔리전스' 소개했습니다. 애플 인텔리전스를 활용하면 AI 메모 교정, 통화녹음 요약정리, 사진·동영상의 AI 편집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맞춤형 AI 경험을 애플의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애플은 오픈AI와 협력 계획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애플은 오픈AI의 챗GPT-4o를 인공지능 비서 '시리'에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아이폰 사용자들이 챗GPT를 활용해 답변을 찾고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항상 폐쇄적으로 운영해왔던 애플이 타사와 협업한 것은 이례적인 일입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애플 발표를 듣고 즉각 반발할 정도로, 그동안 애플은 자사 OS를 개방하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애플은 항상 자사의 기술력을 통해 편리한 사용자의 경험을 강조해왔는데 이번 발표에서는 해당 내용을 찾기 어려웠습니다. 애플 자체적으로 개발한 혁신적인 AI 모델이나 경험을 찾아볼 수 없어 아쉽다는 반응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AI 폰 후발주자로 나선 만큼 새로운 경험에 대한 기대가 컸으나 그에 부응하지 못했다는 반응입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1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애플 파크 본사에서 개최한 '연례 세계 개발자 회의(WWDC) 2024'에서  애플의 AI 기능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반면 삼성전자는 갤럭시 AI를 온디바이스 AI 형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갤럭시 S24에 적용된 생성형 AI 기능인 대화·회의 어시스트, 서클 투 서치, 실시간 번역 기능 등은 큰 호응을 얻은 바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삼성전자 측은 애플의 발표에 앞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신기술 등장에 촉각을 곤두세웠습니다. 하지만 애플 자체 기술에 대한 존재감이 미미하자 우려를 거둔 모습입니다. 삼성전자는 현재 갤럭시 AI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인력을 대거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장준혁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인공지능 관련 해외 학회를 나가보면 애플은 존재감이 없는 세컨드 티어다. 이번 발표에서도 옛날 같은 혁신은 찾아보기 힘들었다"며 "챗GPT는 어디에도 붙일 수 있다. 애플은 통로 역할만 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애플은 AI에서 다소 늦은 면이 있다. 그래서 임팩트가 없고 경쟁사에서 예측 가능한 정도의 수준의 발표를 했다"면서도 "애플이 AI 관련 인재들을 채용해 AI 전쟁에 적극적으로 참전한다면 결과는 달라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최병호 고려대 인공지능연구소 교수는 AI 폰이 새로운 경험을 주기 위해서는 전면적인 대화 모델을 채용해 맥락 기반의 라이프사이클을 압도하는 형태로 가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최 교수는 "애플은 그동안 사용자에게 집중해 혁신적인 리딩을 해왔으나 이번에는 여러 기능만 나열했을 뿐 통합적인 경험이 없어서 어수선했다"며 "그래도 애플은 OS를 갖고 있기 때문에 OS와 전면 결합한 AI를 선보인다면 매우 강력해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최 교수는 애플이 강력한 AI를 선보이기 위해 인적쇄신도 동반돼야 한다고 봤습니다.
 
변소인 기자 bylin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