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임유진 기자] 이찬진 금감원장은 저축은행 업계에 금융소비자 보호와 건전성 강화를 거듭 당부했습니다.
이 원장은 4일 서울 마포구 저축은행중앙회에서 열린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의 모두발언에서 "저축은행의 주된 고객이 서민과 중소기업인 만큼 금융소비자 보호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며 "금융회사의 신뢰는 존재 이유이자 영업 기반"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이 원장은 "과거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로 인해 많은 저축은행들이 문을 닫은 일이 있었는데 또다시 PF 부실 문제가 불거진 것은 다소 아쉬운 대목"이라며 "다만 업권의 적극적인 건전성 개선 노력으로 금년 상반기 연체율이 하락세로 전환되면서 흑자를 기록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또 "예금보호한도가 1억원으로 상향된 만큼 건전성 관리에 만전을 기해 예금자의 재산과 신뢰를 지켜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그러면서 △금융상품 설계·판매·사후관리 전 과정에서의 소비자 중심 의사결정 △보이스피싱 등 금융범죄 차단을 위한 내부통제 강화 △지역 서민·중소기업 대상 금융 지원 확대 △잔여 부실 정리 및 충당금 확충을 통한 손실흡수 능력 제고 등을 주문했습니다.
특히 "저축은행의 주 고객인 서민과 자영업자가 채무조정요청권, 금리인하요구권 등 제도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며 금융소비자 권익 제고 노력을 재차 당부했습니다. 이어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안면 인식 시스템, 비대면 차단 서비스 등을 비용이 아닌 필수 안전망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원장은 "저축은행은 본래 서민과 영세 상인의 금융 부담 완화를 위해 설립된 기관"이라며 "고위험 부동산 대출 중심의 영업에서 벗어나 지역 금융기관 본연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금융소비자 보호는 더 이상 거추장스러운 규제가 아니라 금융회사의 궁극적 경영 목표가 돼야 한다"며 "저축은행 업계가 소비자 중심의 경영을 정착시키고 건전성을 내실 있게 관리한다면 재도약의 기회가 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찬진 금감원장이 4일 서울 마포구 저축은행중앙회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저축은행 대표 간담회에서 CEO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임유진 기자)
이 원장은 저축은행 CEO들과의 비공개 간담회에서도 금융소비자 보호와 건전성 강화를 거듭 강조했습니다. 이 자리에는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을 비롯해 11개 주요 저축은행 CEO들이 참석했습니다. 이 원장은 "저축은행의 주된 고객이 서민과 중소기업인 만큼 금융소비자 보호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말했습니다.
저축은행 CEO들은 "서민 금융기관으로서 포용적 금융을 확대하고, 서민들의 금융 애로 해소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특히 성장성이 있는 중소기업·자영업자 선별 및 자금 지원을 통해 지역 내 생산적 금융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화답했습니다. 또 "하반기에도 적극적인 부실 PF 정리 등을 통해 건전성 개선 추세가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비대면 거래 확산에 따른 경쟁 심화와 신성장동력 약화 등 업계 애로를 언급하며 정책적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또 "저축은행이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영업할 수 있도록 금융당국의 정책적 지원과 제도적 환경 조성을 요청한다"고 밝혔습니다.
임유진 기자 limyang83@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의중 금융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